CES 2025 일정 및 국가별 주요 이슈 및 트렌드 한눈에 정리
728x90
CES(Consumer Electronics Show)는 매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의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로, 최신 기술과 혁신적인 제품을 선보이는 자리입니다. 1967년 처음 개최된 이후, CES는 글로벌 기술 산업의 흐름을 이끄는 중요한 행사로 자리매김했습니다.
CES 2025의 주요 이슈 및 트렌드
CES 2025의 일정은 1월 7일부터 10일까지 "Dive In"이라는 주제로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되며, 인공지능(AI), 디지털 헬스, 모빌리티, 지속 가능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술과 제품이 소개될 예정입니다. 특히, AI 기술의 발전과 이를 활용한 다양한 응용 제품들이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CES 2025 전반적으로 주목할 분야
- 인공지능(AI): CES 2025의 핵심 주제로, AI를 활용한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가 소개될 예정입니다. 특히, AI 반도체, 온디바이스 AI 기술 등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 디지털 헬스: 개인 건강 관리와 관련된 혁신적인 기술과 제품이 다수 선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한국의 중소·벤처기업들도 이 분야에서 다수의 혁신상을 수상하며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 모빌리티: 자율주행차, 드론, 로봇 등 미래 이동 수단과 관련된 기술이 큰 관심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현대차 등 국내 기업들의 참여가 기대됩니다.
- 지속 가능성 및 스마트 시티: 환경 친화적인 기술과 스마트 시티 솔루션이 주요 이슈로 다뤄질 전망입니다. 에너지 효율성, 친환경 소재,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술 등이 소개될 것입니다.
한국 기업들의 참여 현황
CES 2025에는 약 1,000여 개의 한국 기업이 참가하여 역대 최다 규모를 기록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스타트업의 참여가 두드러지며, 전체 스타트업관 참가 기업 중 한국 기업이 약 48%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주목할 만한 한국 부스 및 기업
- 삼성전자와 LG전자: 두 기업은 라스베이거스컨벤션센터(LVCC) 센트럴 홀의 주요 위치에 대규모 부스를 설치하여 최신 기술과 제품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특히, AI를 통합한 스마트폰, TV, 가전제품 등을 통해 사용자 경험을 강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 KAIST: KAIST는 유레카파크에 140㎡ 규모의 단독 부스를 운영하며, 인공지능, 로보틱스, 모빌리티, 지속 가능성 등 첨단 기술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15개 창업 기업이 참여합니다. 이 중 버넥트, 스탠다드에너지, 에이투어스, 파네시아 등 4개 창업기업은 '이노베이션 어워드'를 수상하여 혁신성을 인정받았습니다.
- 딥엑스(DeepX): 국내 AI 반도체 설계 전문 기업인 딥엑스는 델, HP, 레노버 등 글로벌 기업들과 협력한 고성능 AI 솔루션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또한, 현대차 로보틱스랩, LG유플러스, 포스코DX 등과 함께 로봇, 스마트 시티, 스마트 팩토리 분야의 혁신 기술을 시연할 계획입니다.
미국 주요 참가 기업 및 주목할 만한 이슈
- 엔비디아(NVIDIA): 젠슨 황 CEO가 8년 만에 CES 기조연설에 나서며, AI 시대의 핵심인 차세대 반도체를 포함한 기술 산업의 혁신 비전을 제시할 예정입니다.
- 델타항공(Delta Air Lines): 에드 바스티안 CEO가 항공 산업에 적용된 최첨단 기술에 관해 발표할 계획입니다.
- 볼보(Volvo): 마틴 룬드스테드 CEO가 자율주행 기술과 미래 모빌리티에 대한 비전을 공유할 예정입니다.
중국 주요 참가 기업 및 주목할 만한 이슈
- TCL과 하이센스: 이들 기업은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LVCC) 센트럴 홀에 삼성전자와 인접한 위치에 부스를 마련하였습니다. 특히 TCL은 퀀텀닷 미니 LED(QD-Mini LED) TV, 차량용 디스플레이, 스마트 프로젝터, 증강현실(AR) 안경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 로보락(Roborock): 로봇청소기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로보락은 이번 CES에서 신형 로봇청소기를 공개할 계획입니다. 최근 한국 시장에서도 건·습식 일체형 로봇청소기로 주목받고 있으며, 미국 시장을 겨냥한 신제품 발표가 기대됩니다.
대만 주요 참가 기업 및 주목할 만한 이슈
- 에이수스(ASUS): 게이밍 노트북과 고성능 컴퓨터 하드웨어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에이수스는 최신 기술이 적용된 제품들을 공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에이서(Acer): 에이서는 친환경 소재를 활용한 노트북과 에너지 효율성을 강조한 제품들을 선보이며, 지속 가능성에 대한 노력을 강조할 것으로 보입니다.
- HTC: 가상현실(VR) 분야의 선두주자인 HTC는 최신 VR 헤드셋과 관련 기술을 발표하며, 메타버스와 연계된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TSMC: 세계 최대의 반도체 파운드리 기업인 TSMC는 첨단 반도체 기술과 생산 능력을 강조하며, 글로벌 IT 산업의 핵심 파트너로서의 위치를 공고히 할 것입니다.
프랑스 주요 참가 기업 및 주목할 만한 이슈
- 스타트업의 활발한 참여: CES 2025의 스타트업 전시관인 유레카 파크에는 약 1,300여 개의 스타트업이 참가하며, 이 중 프랑스 기업은 171개로 전체의 약 1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189개)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수치로, 프랑스 스타트업의 활발한 참여를 보여줍니다.
- '라 프렌치 테크(La French Tech)'의 통합 브랜드 전략: 프랑스의 코트라 역할을 하는 '비즈니스프랑스'는 35개사의 CES 진출을 지원하며, 이들 기업은 '라 프렌치 테크' 로고를 부스에 부착하여 통일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는 프랑스 기술 기업들의 단합된 이미지를 부각시키는 전략으로, 참관객들에게 강한 인상을 주고 있습니다.
- 혁신적인 IoT 제품의 등장: 프랑스 스타트업들은 기발한 IoT 제품들을 선보이며 언론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센서웨이크'는 토스트나 커피 향기로 사용자를 깨워주는 알람시계를 개발하여 참신한 아이디어로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 패럿(Parrot): 드론 및 무선 제품 분야의 선두주자인 패럿은 최신 기술이 적용된 드론과 스마트 디바이스를 선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 넷앳모(Netatmo): 스마트 홈 솔루션을 제공하는 넷앳모는 새로운 IoT 제품과 스마트 홈 기기를 발표하여 사용자들의 편의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 위싱크(Withings): 헬스케어 기술 분야의 선두주자인 위싱크는 최신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건강 모니터링 솔루션을 공개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 CES 2024에서 한국 기업들의 성과
CES 2024에서 한국 기업들은 혁신적인 기술과 제품을 선보이며 두드러진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주요 성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혁신상 수상 현황
- 전체 수상 기업 중 한국 기업의 비중: CES 2024 혁신상 수상 기업 310개 중 한국 기업은 143개로, 전체의 약 46%를 차지했습니다.
- 최고 혁신상 수상: 총 27개의 최고 혁신상 중 8개를 한국 기업이 수상하며, 기술력과 혁신성을 인정받았습니다.
- 벤처·창업기업의 약진: 혁신상을 수상한 국내 기업 중 116개사가 벤처·창업기업으로, 역대 최다 기록을 세웠습니다.
주요 수상 기업 및 제품
- 텐마인즈(10MINDS): 코골이 완화 시스템 '모션필로우(motionsleep)'로 최고 혁신상을 수상했습니다.
- 만드로(Mand.ro): 부분성 절단 장애인용 로봇 손가락 의수 'Mark 7D'로 최고 혁신상을 받았습니다.
- 미드바르(Midbar): 공기주입식 에어로포닉스 스마트팜 '에어팜(AirFarm)'으로 최고 혁신상을 수상했습니다.
분야별 성과
- 인공지능(AI): AI 혁신상 수상 기업 28개 중 16개(57%)가 한국 기업으로, AI 분야에서의 두각을 나타냈습니다.
- 디지털 헬스(Digital Health): 헬스케어 분야에서 한국 스타트업들의 활약이 두드러졌습니다.
참가 기업 규모 및 계약 성과
- 참가 기업 수: CES 2024에 한국 기업 440여 개가 참가하여 다양한 기술과 제품을 선보였습니다.
- 현장 계약 성과: 한국 통합관에서는 약 1억 2천만 달러 규모의 현장 계약이 이루어지며, 역대 최대 성과를 기록했습니다.
마무리
CES 2025는 다양한 혁신 기술과 제품이 한자리에 모이는 글로벌 행사로, 특히 인공지능, 디지털 헬스, 모빌리티, 지속 가능성 분야에서의 발전이 주목됩니다. 한국 기업들의 활약도 기대되며, 이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