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희토류 반도체 공급 위기? 왜 중국에 흔들릴까?

greatbrave 2025. 4. 14.

희토류와 반도체는 멀리 있는 단어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스마트폰, 전기차, 심지어 미사일까지 연결되는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희토류 반도체’가 왜 중요한지, 그리고 왜 요즘 뉴스에서 자주 보이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

희토류 반도체
희토류 반도체

며칠 전 친구랑 커피 마시다 문득 이런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야, 중국이 희토류 수출 막는다는데 우리 스마트폰 괜찮냐?"
처음엔 웃으며 넘겼지만, 왠지 찝찝해서 집에 와서 바로 검색을 시작했습니다. 그 결과, 생각보다 훨씬 중요한 이야기를 놓치고 있었더라고요.

희토류가 뭐길래 이렇게 난리야?

희토류(Rare Earth Elements)는 이름처럼 ‘희귀한 흙’이 아닙니다. 사실은 꽤 많은 양이 존재하지만, 정제하기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어서 ‘희토’라는 이름이 붙었죠. 대표적으로 디스프로슘(Dy), 네오디뮴(Nd), 이트륨(Y) 같은 원소들이 포함돼 있습니다.

이 희토류가 반도체와 무슨 관계냐고요?

반도체 속 숨은 조연, 희토류

예를 들어 디스프로슘은 반도체 장비 내 자성 소재, 즉 아주 작은 스위치 역할을 할 수 있는 자석을 만드는 데 들어갑니다.
또한 에르븀(Er)은 광통신용 레이저 다이오드에 들어가는데, 이게 없으면 우리가 지금처럼 빠른 인터넷을 쓰기 어려워질 수도 있습니다.

요즘 자주 듣는 'AI 반도체', '5G', '자율주행차'에도 이 희토류가 빠지면 기술이 멈춰버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왜 중국이 문제인가?

전 세계 희토류 생산량의 70~80%를 중국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정제 기술도 거의 독점하고 있어서, 중국이 수출을 통제하면 전 세계 공급망에 바로 영향이 갑니다.
실제로 2024년 말부터 중국은 7종의 희토류 수출을 제한하면서 미국, 한국, 일본이 초긴장 상태에 들어갔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의 반도체 업계는 디스프로슘과 네오디뮴 수급이 지연될 경우, 생산 차질이 불가피합니다. 단순한 문제 같지만, 이로 인해 스마트폰 생산이 느려지거나 가격이 오를 수도 있는 거죠.


대체 공급처는 없을까?

한국도 손 놓고 있지는 않습니다.

  • 호주 Lynas사와 협력하여 일부 정제 기술을 도입하고 있고,
  • 미국, 캐나다, 베트남, 아프리카 등의 광산 개발에도 적극 참여 중입니다.

하지만 문제는 ‘정제’.
채굴만 한다고 끝나는 게 아니라, 화학적으로 분리하고 가공하는 과정이 핵심인데 이 기술은 아직 대부분 중국에 있습니다.
그래서 한국은 희토류 재활용 기술 개발, 국산 정제 설비 확대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자립을 준비 중이에요.


마무리하며

우리가 매일 쓰는 스마트폰, 노트북, 전기차 안에도 '희토류 반도체'가 숨어 있습니다.
예전엔 몰랐지만, 이 작은 원소들이 세계 경제와 정치에 얼마나 큰 영향을 주는지 이제야 실감이 나네요.

친구의 질문은 단순했지만, 그 속에는 꽤 복잡한 세계가 숨어 있었던 셈이죠.
앞으로 뉴스를 볼 때 ‘희토류’라는 단어가 보이면, 이제 조금 더 의미 있게 다가올 겁니다.

댓글